본문 바로가기
미국 새내기 엄마 이야기

미국 출산휴가 - 뉴욕주 출산휴가 관련 법

by 데이나올데이 2025. 4. 5.

임신하고 나서야 자세하게 알게 된 출산휴가 관련 법들

뉴욕 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나는 뉴욕 주와 뉴욕 시(맨하탄)의 출산휴가를 받는다. 

이에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보기로

 

1. 연방정부 출산휴가 FMLA (Family and Medical Leave Act)

주에 상관없이 연방정부에서 보장하는 출산휴가 Family and Medical Leave Act인데 줄여서 FMLA 라고 부른다.

사실 출산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개인의 건강 문제로 인한 일정 기간의 휴가를 떠날 때 사용하는 휴가 제도이다.

이 제도를 통해서 최대 12주까지 무급으로 휴가를 받을 수 있고, 이 기간 동안에는 직장 복귀가 보장,

즉 휴가를 사용한 근로자를 해고할 수없다 (감사합니다..) 또 가장 중요한 건강보험 혜택도 휴가 기간동안 지속된다. 

이 FMLA (Family and Medical Leave Act) 은 아래의 조건을 충족했을시에만 사용 가능하다.

  • 일정 기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 (최소 12개월 이상, 그리고 1,250시간 이상 근무).
  • 50명 이상의 직원이 있는 회사에서 일하는 근로자.
  • 본인 또는 가족의 건강 문제, 출산, 입양, 가족 돌봄 등의 이유로 신청 

나는 안타깝게도 일한지 5개월 차에 출산예정이었기 때문에 FMLA 를 사용할 수 없었다..

관련 정부 페이지 - 아주 자세하게 설명되어있다.

https://www.dol.gov/agencies/whd/fmla

 

Family and Medical Leave Act

The FMLA provides eligible employees unpaid, job-protected leave for family and medical reasons, with continued health insurance coverage.

www.dol.gov

 

2. 뉴욕주 Short Term Disability Leave (직독직해 단기 장애 휴가)

뉴욕주(NYS)의 Short Term Disability Leave (단기 장애 휴가)는 근로자가 질병이나 부상으로 일시적으로 일을 할 수 없을 때,

(*출산도 단기 질병으로 이에 해당) 일정 기간 동안 임금을 보장해주는 제도이다.
최대 26주까지 유급 휴가를 받을 수 있으나 출산의 경우 자연분산시 6주, 재왕절개시 8주까지 가능하다.

물론 출산 이후에도 건강 상태에 따라 + 의료진의 처방에 따라서 최대 26주까지도 가능하다.
임금은 주급의 50%를 지급받을 수 있으나, 최대 금액이 $170로 정해져있다 (2025년 기준, 매년 조금씩 오름).

자영업자는 이 혜택에 적용되지 않으며, 고용된 & 이와 관련된 세금을 낸 근로자만 해당된다. 

 

출산 전에도 사용이 가능한데 (*예정일로부터 4주 전부터) 뉴욕주의 경우 의료진의 처방전 Doctor's note 이 필요하다. 임당 + 고위험군 산모였던 나도 담당 닥터의 권유로 예정일 2주 전부터 Short Term Disability Leave 를 이용했다.그래서 출산 전 2주 + 자연분만 출산 후 6주 총 8주를 사용했다. 한가지 슬프고도 웃긴 사실은 강 건너 뉴저지 주는 의료진의 처방전 없이 36주부터 사용가능하다는 것.. 흑흑..이렇게 주마다 법이 다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뉴욕주 관련 페이지 링크로

https://www.wcb.ny.gov/content/main/DisabilityBenefits/employee-disability-benefits.jsp

 

Introduction to the Disability Benefits Law

--> Workers --> New York is one of a handful of states that require employers to provide disability benefits coverage to employees for an off-the-job injury or illness. The Disability and Paid Family Leave Benefits Law (Article 9 of the WCL) provides weekl

www.wcb.ny.gov

 

3. 뉴욕주 Paid Family Leave, PFL 유급출산휴가

뉴욕주에서는 유급 출산휴가(Paid Family Leave, PFL) 제도를 통해 또 다른 출산휴가를 제공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단기 장애 휴가(Short Term Disability)와는 다른 제도로, 출산과 관련된 가족 돌봄을 위한 유급 휴가이다.

최대 12주의 유급 휴가 - 2025년 기준 급여의 67%로, 최대 주급 $1,131.08 까지 지급된다 - 이며 위에 언급된 다른 제도들과 마찬가지로

직장 복귀가 보장되고 (해고못함), 건강보험 혜택이 유지된다. 

 

유급인 만큼 FMLA 처럼 신청조건이 까다로운데

  • 출산한 사람에게 해당되며, 출산휴가 외에도 아픈 자녀나 가족(직계가족)을 돌보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고
  • 뉴욕주에서 최소 26주 이상 일한 근로자 (직장에서 6개월 이상 일한 경우) & 1주일에 최소 20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여야 한다.
  • 파트타임으로 근무한 근로자 (1주일에 20시간 미만)의 경우 175일 이상을 일하고 지원 가능 
  • 자영업자는 제외
위에 언급된 Short Term Disability Leave 와의 차이점이라면
  • Short Term Disability Leave  단기 장애 휴가는 출산 전후에 발생할 수 있는 건강 문제에 대한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이다. 출산 자체가 단기 건강 문제로 인식되며, 출산 후의 회복을 위한 휴가입니다. 최대 받을 수 있는 금전적 지원이 주의 $170
  • Paid Family Leave는 출산뿐 아니라 자녀나 가족의 돌봄을 위한 유급 휴가로, 출산 후 부모가 가족을 돌볼 수 있는 기간을 보장한다.  그러다보니 임금의 67%가 주마다 지급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또 다시 뉴욕주 정부 페이지

https://paidfamilyleave.ny.gov/eligibility

 

Eligibility

Who is eligible for Paid Family Leave?

paidfamilyleave.ny.gov

 

+ 또 중요한 사실

 

FMLA의 기간은 다른 휴가와 중복 적용됩니다

이게 무슨 뜻이냐면

병원 담당자가 보내준 설명 이미지
아이 낳고 STD 6주 -> NY PFL 12주 (3개월) -> FMLA 12주 (3개월) = 총 30주, 6개월을 넘는 시간을 사용하는 게 아니라FMLA 는 출산하는 순간부터 적용되어 STD 와 NY PFL를 사용하는 기간에도 같이 적용되므로총 18-20주의 출산휴가를 사용하게 된다. 

 

나는 고작 5개월밖에 일을 하지 않고 출산하러 갔기 때문에 이 유급휴가를 사용하기 위해선 다시 일에 돌아와야했다..

출산 2주 전 Short term disability leave-> 출산하고 6주 동안 Short term disability leave-> 일 복귀 (한달)-> NYS paid family leave 으로 12주 쉬는 줄 알았으나-> 일 복귀 예정 (2일....)

 

우리 병원 fmla 담당자가 4주가 부족하다하여 4주의 스케쥴을 받고 일을 했건만  -나는 간호사로 4주 한달 근무면 총 13일의 시프트를 받는다- 보험회사 내 케이스 담당자가 2일이 부족하다며 나에게 다시 일에 돌아가야한다고 했다..!! 🤯

분명 일의 마지막 날 7일 전에도 케이스 담당자에게 이메일보내고 확인을 부탁했는데 

진짜 나중에 2일 부족하다고 전화했을 때 너무 화가 나서 따졌더니 미안하다는 말만 할 뿐..

하긴 미안하다고만 하지 해줄 수 있는게 없는 건 알기에..또 내가 일 시작한지 얼마 안되고 

출산휴가 떠난거라.. 뭐..이런 케이스가 별로 없겠지 하면서도 화가 나는 건 사실... 돈도 못받고 후...

 

나같은 불편함을 겪는 어머니들이 없기를 바라며 미국의 출산휴가/육아휴가 제도에 대해 적어보았다.

주마다 차이가 있을테니 꼭 일하시는 주 (회사가 속한 주)의 제도를 확인해보세요!

 

 

 

 

'미국 새내기 엄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뉴욕 병원 출산 후기/비용  (3) 2025.04.04